Home [혼공머신러닝 4–2] 로지스틱 손실 함수와 확률적 경사 하강법
Post
Cancel

[혼공머신러닝 4–2] 로지스틱 손실 함수와 확률적 경사 하강법

1. 손실함수란

이 장에서는 확률적 경사 하강법과 손실함수라는 새로운 개념에 관해 배웠는데, 이런 개념을 도입한 까닭은 계속해서 새로운 데이터가 추가되어 매번 모든 데이터를 가지고 학습할 수 없는 경우,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제시된 것이 확률적 경사 하강법이며, 확률적 경사 하강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손실 함수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확률적 경사 하강법은 손실함수의 값을 최저로 줄이는 지점을 찾도록 임의의 데이터를 택해 에포크를 반복하는 방법입니다. 이 장에서 소개한 로지스틱 손실 함수는 타깃이 1일 때는 -log(예측 확률), 0일 때는 -log(1-예측 확률)을 함수값으로 합니다.

이진 분류에서는 1일 때와 0일 때의 사건이 서로 배반이기 때문에 0일 때 1-예측확률을 계산하면 1일 때의 값이 됩니다. 함수값을 이렇게 정의하는 까닭은 손실 함수가 미분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연속성을 부여하기 위함입니다. 예측치가 타깃에 가까울수록 함수값이 더 낮습니다.

다중 분류에서 이와 비슷하게 사용하는 손실 함수는 크로스엔트로피 손실 함수입니다. 또, 회귀에서는 평균 제곱 오차를 손실 함수로 사용하며, 뒤에서 소개하는 hinge 함수는 서포트 벡터 머신(SVM)에서 사용합니다.

이제 이론을 알았으니 직접 코딩을 해봅시다.

2. 확률적 경사 하강법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import pandas as pd

fish = pd.read_csv('https://bit.ly/fish_csv_data')
fish_input = fish[['Weight','Length','Diagonal','Height','Width']].to_numpy()
fish_target = fish['Species'].to_numpy()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

train_input, test_input, train_target, test_target = train_test_split(
    fish_input, fish_target, random_state=42)
from sklearn.preprocessing import StandardScaler

ss = StandardScaler()
ss.fit(train_input)
train_scaled = ss.transform(train_input)
test_scaled = ss.transform(test_input)

이제 데이터를 준비하고 표준화하는 과정은 당연하니 굳이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1
2
3
4
5
6
7
8
from sklearn.linear_model import SGDClassifier
sc = SGDClassifier(loss='log', max_iter=10, random_state=42) # loss : 손실 함수, log : 로지스틱 손실 함수, max_iter : 최대 에포크 횟수
sc.fit(train_scaled, train_target)

print(sc.score(train_scaled, train_target))
print(sc.score(test_scaled, test_target))
=>0.773109243697479
=>0.775

SGDClassifier의 매개변수로는 loss, max_iter를 알아둬야 하는데 loss는 사용할 손실 함수이고, max_iter는 최대로 반복할 에포크의 횟수입니다. 아직 평가 점수가 높지 않으므로 에포크를 1회 더 수행해보겠습니다.

1
2
3
4
5
6
sc.partial_fit(train_scaled, train_target) # 에포크를 1회 수행

print(sc.score(train_scaled, train_target))
print(sc.score(test_scaled, test_target))
=>0.8151260504201681
=>0.85

정확도가 더 높아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에포크 횟수를 얼마로 정해야 과대적합과 과소적합을 피할 수 있을까요? 이 문제의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1회마다 훈련 세트와 테스트 세트의 평가 점수를 저장하는 배열을 만들고, matplotlib로 그래프를 그려 봅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import numpy as np

sc = SGDClassifier(loss='log', random_state=42)

train_score = []
test_score = []

classes = np.unique(train_target)
for _ in range(0, 300): # _는 이후에 사용하지 않을 변수
    sc.partial_fit(train_scaled, train_target, classes=classes) # fit를 사용하지 않고 partial_fit만 사용할 때는 전체 클래스의 레이블을 전달해야 함
    
    train_score.append(sc.score(train_scaled, train_target))
    test_score.append(sc.score(test_scaled, test_target))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plt.plot(train_score)
plt.plot(test_score)
plt.xlabel('epoch')
plt.ylabel('accuracy')
plt.show()

image

코드에서 한 가지 주의할 점은, 훈련 시 fit를 사용하지 않고 1회의 에포크를 수행하는 partial_fit만을 사용할 경우 전체 클래스의 레이블을 전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프를 보면 에포크 100 이상에서 훈련 세트의 정확도가 테스트 세트의 정확도보다 급격히 높아져 과대적합되고 있으므로 100에서 조기종료 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max_iter을 100으로 설정해 다시 확률적 경사 하강법을 수행해보겠습니다.

1
2
3
4
5
sc = SGDClassifier(loss='log', max_iter=100, tol=None, random_state=42) # tol은 전달된 변수만큼의 변화가 없을 때 더 훈련하지 않고 자동으로 멈추게 함
sc.fit(train_scaled, train_target)

print(sc.score(train_scaled, train_target))
print(sc.score(test_scaled, test_target))

훈련 세트에서 0.957983193277311의 평가를, 테스트 세트에서 0.925의 평가를 받았습니다.

공부한 내용의 전체 코드는 github에 작성해 두었습니다.

https://github.com/ynkim0/study/blob/main/4-2.ipynb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